728x90

꽃을 바라보는 마음


심 경 호(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우리 집 마당에서 봄소식을 제일 먼저 알려준 것은 상사화 싹이었다. 단풍나무 아래서 크고 둥근 싹들이 겹겹 포개져 나오더니, 불과 일주일 사이에 수선화 잎을 닮아가기 시작한다. 6월이나 7월이면 잎이 마르면서 꽃대가 올라오고 8월이면 깔때기 같은 분홍 꽃이 피어날 것이다. 잎이 있을 때는 꽃이 미처 피지 않고 꽃이 필 때는 잎이 이미 없다. 그래서 꽃과 잎이 서로 그리워한다는 뜻에서 상사화라고도 하고 이별초라고도 한다. 개난초나 녹총이라고도 부른다고 한다.


상사화는 꽃무릇과 혼동하기 쉽다. 아내는 상사화 아래에 꽃무릇을 심어 두었는데, 잎 상태로 겨울을 난다. 이것도 수선화과에 속하지만 상사화와는 다르다. 5월에 잎이 마르고 여름동안 아무 자취도 없다가 가을이 되면 홀연 초록 꽃대가 자라나서 붉은 꽃을 피우며, 꽃이 진 후에 잎이 올라온다. 한자어로는 석산(石蒜)이라고 한다. 선운사의 상사화는 바로 이 꽃무릇이다. 긴 수술을 지닌 붉은 꽃이 갈고리 모양으로 하늘을 향해 뻗는 모습이 현세의 고통을 벗어나 열반에 드는 것 같다고 해서 피안화(彼岸花)라고 한다. 절간에서는 5월에 잎이 진 뒤 알뿌리에서 전분을 채취해서 불경 종이를 붙일 때 풀로 사용하였다고 한다.


중향국(衆香國)의 구성원들과 주인과 이방인


손바닥 크기의 땅이거늘, 돌단풍, 명자꽃, 철쭉, 앵두, 장미, 해당화, 채송화, 넝쿨장미, 자주달개비, 수선화, 매발톱, 딸기, 황매화, 산매화, 붓꽃, 금낭화, 바위취, 라일락, 무스카리 같은 초목들은 물론, 둥글래, 복분자, 구기자, 오미자 같은 약초도 있다. 그리고 부추도 한 구석에 심어 두어서, 가끔 식탁에 올라온다. 이 모두가 아내의 공력이 미치는 중향국(衆香國)의 구성원들이다.


그러나 나는 이제까지 중향국의 이방인이었다. 꽃을 볼 시간도 마음도 갖지 못했다. 그러다가 올봄, 아내가 상사화 싹을 가리켜 보이며 봄을 이야기하였을 때 문득, 나 자신이 얼마나 황폐한 영혼의 소유자인가 깨달았다.  

      

그리고 다산 정약용이 강진의 다산초당에 화단을 만들고 「다산화사(茶山花史)」 20수의 연작을 남긴 사실을 환기하였다. ‘화사(花史)’는 화훼에 관해 기록이란 뜻이다. 
 

다산은 국화, 수선화 같이 분에 담은 꽃도 좋아하였지만, 붉은 복사꽃, 배꽃, 연꽃, 목근화(무궁화) 같이 자연 속에 피어난 꽃을 더 좋아하였다. 강진 유배지에서는 연못에 삼신산을 만들고 주변에 백화를 심어 화단을 만들었다. 그리고는 중향국 주인으로서의 한 해 일들을 「다산화사」에서 노래한 것이다.   


귤원 서편의 다산 초당은 소나무 숲이 우거지고 시내물이 둘러나간 곳에 있었다. 초당의 정면에는 작은 못이 있었으며, 그 안에 석가산으로 세 봉우리를 만들었다. 그리고 백화를 적절히 심어두고 섬돌을 두르자, 철따라 피는 꽃이 아롱다롱 자고(꿩) 무늬를 물속에 비추었다. 화단에는 매화, 복숭아꽃, 학정홍(鶴頂紅), 모란꽃, 홍약(작약), 수구(수국), 해류(석류), 치자, 부양(자미 곧 백일홍), 월계화,  해바라기, 국화, 자려(자초),  호장(천남성),  포도를 심었다.


다산은 별도로 미나리 밭도 가꾸었다. “금년에야 처음으로 미나리 심는 법을 배워, 성 안에 가 채소 사는 돈이 들지 않는다네.[今年始學蒔芹法, 不費城中買菜錢]"라고 하였으니, 생활의 방편 때문에 미나리를 심기 시작한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미나리를 ‘화사’의 군방보(群芳譜)에 넣은 것을 두고, 다산이 완물상지(玩物喪志)에 빠지지 않고 실생활을 중시하였다고 야단스럽게 풀이할 필요가 없다. 생활의 방편인 미나리의 꽃까지도 군방(뭇 화훼들)의 하나로 바라볼 수 있는 마음이 다산에게 있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물론 다산의 「화사」연작시는 화훼의 하나하나에 정신의 지향을 가탁하여 두었다.


해류의 화판은 술잔만큼 크다                          海榴花瓣大如杯

종자는 애초 일본에서 왔다지.                        種子初從日本來

춘삼월 가도록 깡말랐다 비웃지 마시게              莫笑枯寒到三月

꽃들 지거든 그때 가서 필 것이니.                    群芳衰歇始應開


석류는 다른 봄꽃들이 흐드러지게 피어나 있을 때 깡마른 가지만 드러내고 있다가, 초여름이면 가지마다 하나부터 다섯 개에 이르기까지 화려하게 붉은 꽃을 피운다, 그것은 깡마른 지식인이 인고 끝에 이루어낸 풍요로운 지적 결실을 형상한다.


꽃을 꽃으로 바라볼 수 있다는 것은


이렇듯 다산은 꽃의 생태에 정신의 지향을 가탁해 두었지만, 꽃 자체를 사랑하는 마음이 더욱 강하였다. 모란꽃을 보호하려고 창 앞에 대바자를 쳐 놓은 다산이다. 

 

바닷바람이 모래를 멀리 날리기에                     海天風力遠飛沙

들창 앞에 대바자를 한 일자로 쳐놓는다.           

산 사람 병들까봐 막은 게 아냐                        不是山人養衰疾

모란꽃 보호하려고 막은 것이라네.                   祇應遮護牧丹花


작약 싹이 죽순처럼 뾰족하고 경옥처럼 붉게 돋아나자, 행여 아이들이 장난으로 꺾기라도 할까봐 다산은 여간 걱정을 한 정도가 아니었다.  


갓 돋은 작약 싹이 기세 좋게 솟아나               紅藥新芽太怒生

죽순보다 뾰족하고 경옥처럼 붉구나.              尖於竹筍赤如瓊

산 영감이 그 싹을 지키기로 다짐해서             山翁自守安萌戒

아이들 화단에 못 가도록 막는다오.                不放兒孫傍塢行


꽃을 꽃으로 바라볼 수 있다는 것은 생활의 이해관계로부터 떠날 수 있는 정신 지향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세간의 이해관계로부터 자신을 격리시킬 수 없는 사람은 학문을 하여도 제대로 된 결과를 이루어내기는 어려울 것이다. 생활의 이해관계에 대해 관심이 없음이야말로 사심이 없음[disinterested]이다. 현실의 진정한 참여는 그런 사심 없는 마음을 만들 수 있을 때 가능하지 않을까, 다산의 「화사」를 되읽으면서 그런 생각을 하게 된다.


상사화와 꽃무릇에 간간이 눈을 준다고 해서 중향국의 주인이 된 것은 아니다. 화단을 가꾸지 않는 나는 그저 좋은 손님[가빈]의 대우를 받게 되길 바랄 따름이다. 나의 이런 마음을 다산께서 미리 알아주셨던 것은 아닐까, 외람되나마 그렇게 생각해본다.   



글쓴이 / 심경호

·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한문학과 교수

· 저서 : 『조선시대 한문학과 시경론』, 『강화학파의 문학과 사상』, 『김시습 평전』, 『한국한시의 이해』, 『한문산문의 내면풍경』, 『한시의 세계』, 『한학입문』, 『한시기행』, 『간찰 : 선비의 마음을 읽다』, 『산문기행 : 조선의 선비, 산길을 가다』 등

· 역서 : 『불교와 유교』, 『주역철학사』, 『원중랑전집』, 『금오신화』, 『한자 백가지 이야기』

'변방의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간: 동백꽃, 붉고 시린 눈물  (0) 2008.05.07
희망의 속삭임  (0) 2008.04.05
소설 같은 시  (0) 2008.03.13
통일문학의 발을 묶지 마라  (0) 2008.03.05
한국의옛그림  (0) 2008.03.04
728x90

이메일로 온 플래시, 이 시를 읽고 한참 웃었습니다. 같이 보시지요.

 

폭설/ 오탁번
                   
삼동(三冬)에도 웬만해선 눈이 내리지 않는
남도 땅끝 외진 동네에
어느 해 겨울 엄청난 폭설이 내렸다
이장이 허둥지둥 마이크를 잡았다
-주민 여러분! 삽 들고 회관 앞으로 모이쇼잉!
눈이 좆나게 내려부렸당께!

이튿날 아침 눈을 뜨니
간밤에 또 자가웃 폭설이 내려
비닐하우스가 몽땅 무너져버렸다
놀란 이장이 허겁지겁 마이크를 잡았다
-워메, 지랄나부렀소잉!
어제 온 눈은 좆도 아닝께 싸게싸게 나오쇼잉!

왼종일 눈을 치우느라고
깡그리 녹초가 된 주민들은
회관에 모여 삼겹살에 소주를 마셨다
그날 밤 집집마다 모과빛 장지문에는
뒷물하는 아낙네의 실루엣이 비쳤다

다음날 새벽 잠에서 깬 이장이
밖을 내다보다가, 앗!, 소리쳤다
우편함과 문패만 빼꼼하게 보일 뿐
온 천지가 흰눈으로 뒤덮여 있었다
하느님이 행성만한 떡시루를 뒤엎은 듯
축사 지붕도 폭삭 무너져내렸다

좆심 뚝심 다 좋은 이장은
윗목에 놓인 뒷물대야를 내동댕이치며
우주의 미아가 된 듯 울부짖었다
-주민 여러분! 워따, 귀신이 곡허것당께!
인자 우리 동네 몽땅 좆돼버렸쇼잉! 

 

 

'변방의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희망의 속삭임  (0) 2008.04.05
꽃을 바라보는 마음  (0) 2008.03.26
통일문학의 발을 묶지 마라  (0) 2008.03.05
한국의옛그림  (0) 2008.03.04
숭례문을 가리지 마라  (0) 2008.02.14
728x90

     
 통일문학의 발을 묶지 말라  
창비주간논평. 2008-03-04 오후 3:41:20 Comments (0)

도종환 / 시인, 한국작가회의 사무총장

남북 문인들이 해방 이후 처음으로 함께 낸 문학지 《통일문학》 창간호에는 북의 소설가 장기성의 <우리 선생님>이 맨 앞에 실려 있다. 시골학교에 부임해 와서 5년간 근무하고도 교수강습소로 떠나는 남은희 선생이 방금 대학을 졸업하고 후임으로 온 윤금숙 선생에게 인수인계를 하며 학교를 떠나는 이야기를 그린 작품이다. 그런데 버스가 두번째 굽이를 돌아설 때 아홉살짜리 사내애들 네댓이 버스를 세우라고 손을 흔든다. 그들은 "선생님"을 부르며 달려온다. 그대로 아이들을 뒤로하고 버스가 달리는 동안 개울건너마을 아이들이 옷을 입은 채로 물을 건너 달려오고, 다시 앞굽이돌이에서 또 한 패의 아이들이 나타나는 바람에 결국 버스는 멈추게 되고 아이들은 가지 말라고 남은희 선생의 옷자락에 매달린다.

이 소설의 후반부 아이들이 버스를 향해 달려오는 대목에서 독자들은 눈물을 흘린다. 그런데 이 모습을 지켜보던 윤선생은 "아, 친어머니와 헤어지는 아이들인들 저보다 더할 수 있으랴! (…) 저렇게 따르는 교원의 한마디 한마디는 그대로 어린 가슴들을 공명시켜 위대한 수령님에 대한 불타는 충실성에로 부를 것이다”라고 생각한다.  

국정원, 《통일문학》 반입을 불허하다

이번에 국가정보원에서 문제삼아 《통일문학》의 반입을 불허하게 만든 대목이다. 그런데 아이들이 선생님을 보낼 수 없어 울며 따라오는 것이 선생님이 아이들에게 수령님에 대한 불타는 충실성을 가르쳤기 때문일까? 남선생은 명환이가 누나에게 숙제의 일부를 대신 해달래서 가져온 것을 알면서도 그걸 폭로하고 지적하면 자존심에 상처를 줄까 봐 망설이다가 덮어주는 교사였다. 장난 심한 인민반 3학년짜리 사내녀석들을 위해 바늘과 실, 단추를 함에 넣어두었다가 꿰매주는 세심하고 자상한 교사이다. 어깨폭이 유난히 넓은 학생을 위해 팔십리 먼 광산까지 가 평행봉을 특별히 만들어 그걸 머리에 이고 온 교사이다. 그랬기 때문에 아이들이 그를 어머니 이상으로 따르는 것이다. 그런 남선생을 보면서 수령님을 떠올리는 건 윤선생이 이제 대학을 갓 졸업한 신임교원이기 때문일 것이다.

남측에서는 이청준의 <눈길>을 앞에 실었다. 집안이 망해버린 뒤 남의 손에 넘어간 옛집에서 어린 아들에게 마지막 저녁을 해 먹이는 어머니, 날이 밝기도 전에 눈 덮인 길을 함께 걸어 산을 넘는 모자, 아들이 떠나버린 뒤 아들의 발자국을 밟으며 홀로 되돌아오는 어머니의 이야기는 이미 많은 남쪽 사람들이 가슴 뭉클하게 읽었던 대목이다. 어머니와 자식이라는 보편성, 선생님과 어린 제자라는 사회성의 차이는 있을망정 두 작품 모두 진한 감동을 전해준다.

두 작품을 읽으며 남과 북이 감동을 두고 경쟁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그런가 하면 북의 소설가 변창률의 <영근 이삭>은 농장마을을 배경으로 당돌한 여주인공 홍화숙이 주위의 질시와 비난을 이기고 몇배 더 열심히 일하고 노력하여 분조장에 임명되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은희경의 단편 <빈처>의 여주인공 '나'는 아이 둘을 키우는 평범한 주부이다. 그녀는 홍화숙처럼 확신에 찬 인물이 아니다. 나날의 일상사와 가사노동에 지쳐가는 전업주부이다. 그녀는 자신과 가정을 이끌어가는 일도 힘겨워한다. 그녀 앞에는 지친 일상만이 놓여 있을 뿐이다. 남쪽 소설가 김서령의 단편 <작은 토끼야 들어와 편히 쉬어라>에 나오는 주인공들은 더 비극적이다. 그들의 자의식은 상처로 깊게 멍들어 있고 세상은 냉혹하다. 그러나 상처뿐인 그들끼리 그래도 서로 위로하고 다독이며 살아간다. 그들은 북의 여성작가 최련의 <바다를 푸르게 하라>에 나오는 해송이나 연경, <영근 이삭>의 홍화숙 같은 전형적인 인물이 아니다. 지구온난화나 바다자원의 합리적 이용 같은 국가적 문제를 두고 고민하지 않는다.

구시대적 인식을 탈피하지 못한 당국

그러나 모순투성이 세상을 살아가는 남쪽 소설의 인물과 이상화된 세상을 만드는 일에 앞장서는 북쪽 소설의 인물 중 누가 더 독자들의 공감을 얻을지는 알 수 없다. 누가 더 인간의 모습을 솔직하게 그리고 있는지, 누가 더 진실한 인간의 삶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는지, 그 진정성의 문제는 독자들이 읽고 판단하게 해야 한다. 갈등과 대립 속에서 방황하는 인물과 갈등없이 견결하게 과제를 해결해나가는 인물 중에 누가 더 설득력있는 인물인지를 읽는이들이 판단하기 전에 국정원이 된다 안된다를 결정해서는 안 된다.

국정원에서는 이번에 나온 《통일문학》의 창간사에 있는 "지금까지 북에서 발간되어온 《통일문학》을 6·15시대에 맞게 확대·발전시킨 북과 남, 해외 문인들의 공동잡지"라는 구절도 반입을 불허하는 이유라고 했다. 애당초 북에서는 이 잡지 표지에 '통권 제75호' 식으로 표기되기를 원했지만 남측에서는 명백하게 반대했다. 그 결과 남북 양측에서는 이 잡지가 6·15민족문학인협회 기관지 창간호임을 명시하되, 그간 북측에서 발행해온 《통일문학》이 있었음을 창간사에서 밝히자고 합의한 것이다. 어렵게 남북문인들이 합의한 내용이다.

그리고 그동안 북에서 만든 《통일문학》이 북측 체제를 문학적으로 지지·지원하거나 주어진 시기별 테제에 맞추어 북쪽 사회를 정서적으로 앞장서 이끌어가기 위한 문학을 실어왔다면, 이번에 《통일문학》이 창간됨으로써 그 내용의 절반이 남측의 원고로 채워지게 된 것도 눈여겨볼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이것도 중요한 변화라고 판단해야 하는 것이다. 이를 받아들인 북의 입장도 살펴보아야 한다. 북측도 많이 양보해서 이 잡지가 나온 것이다.

남북 문학교류는 문인들에게 맡겨야

극좌와 극우 모두 변하지 않으면 통일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신영복 교수의 말에 나는 동의한다. 자본주의의 모순과 사회주의의 모순을 넘어서는 곳에 통일의 길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우리의 통일이야말로 새로운 사회를 향한 문명사적 전환을 이루는 길이어야 한다고 말하는 것이다.

지난주에 뉴욕필이 평양에서 북한의 애국가를 연주한 뒤 남쪽으로 내려왔다. "화해의 서곡" "불신의 벽을 허무는 화음"이라고 언론은 평가했다. 국가보안법 위반이라고 그들을 조사하거나 그들에게 입국금지조치를 내렸다면 전세계가 뭐라고 했을까? 남북협상을 위해 북에서 내려오는 이들의 가슴에는 김일성 주석의 휘장이 달려 있다. 그걸 떼고 와야 입국을 허락한다고 주장하면 아무런 협상도 할 수 없지 않은가.

남과 북이 공동으로 내는 잡지의 내용 중에 수령님이란 글자만 나오면 반입을 불허하겠다는 생각은 너무도 단순하고 구시대적인 논리이다. 앞뒤 문맥을 고려해서 읽어야 하고 남북관계의 변화와 화해라는 큰 틀에서 잡지를 바라보아야 한다. 북측의 작품을 읽고 남쪽의 문인들이 금방 어떻게 될 것처럼 우려한다면 그것 또한 문인들의 인식수준을 얕게 보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문학은 문인들에게 맡겨주면 좋겠다.

2008.3.4 ⓒ 도종환
 
 

'변방의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꽃을 바라보는 마음  (0) 2008.03.26
소설 같은 시  (0) 2008.03.13
한국의옛그림  (0) 2008.03.04
숭례문을 가리지 마라  (0) 2008.02.14
경부운하 관련 두번째 소식-초록의 공명  (0) 2008.02.02
728x90

산수도(강희안)비단에담채96.5&52.5(15세기중엽)도쿄국립박물관

 

산수인물도(이경윤)족자비단에담채91.1&59.5(16세기말)국립중앙박물관

 

어가한면도(이상좌)비단에담채18.7&15.4(15세기말)국립중앙박물관

 

어초문답도(이명욱)종이에담채(17세기후반)간송미술관

 

예장소요도(이불해)18.6&13.5(16세기후반)국립중앙박물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