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혼자만 즐기던 ‘부산의 속살’ 세상의 모든 이에게 보여줘
 
  • “서울 사람 존경스럽지요. 컨베이어 벨트 위의 삶을 초인적으로 버티잖아요.”

    2000년 ‘일광욕하는 가구’로 백석문학상을 수상한 최영철(52·사진) 시인은 1990년 서울살림을 정리하고 고향 부산으로 내려갔다. 사람과의 소통이 거의 없는 서울을 견딜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그는 부산 수영동 동네를 소요하며 느낀 감정을 산문집 ‘동백꽃, 붉고 시린 눈물’(박경호 그림·산지니)에 담았다. 글편들마다 항구도시 부산에 대한 정감이 가득하다.

    그는 부산에서 45년을 살았다. 동네 재래시장에서 과일장수의 표정만 봐도 하루 매상을 짐작할 수 있다. 이같이 친밀하고 개인적인 소통이 시를 쓰게 하는 동력이다. 산문집에도 그의 세밀한 감수성이 잡아챈 아름다움이 넘실댄다. 1부 ‘풍경들’에는 부산이 품은 경치가 펼쳐져 있고, 2부 ‘작품들’은 부산과 연관된 문학 미술 영화 노래를 소개한다. 그는 해운대 달맞이고개, 호포 가는 길의 낙동강 등을 시인의 감성으로 묘사하고, 최민식의 사진작품과 유익서의 소설 ‘우리들의 축제’, 영화 ‘친구’에서는 부산의 생명력을 집어낸다.

    최 시인은 “외지인뿐만 아니라 부산 시민에게도 부산의 속살을 만져보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며 “나아가 지방에 거주하는 이들이 자기가 발 딛고 있는 지역의 값어치를 깨닫게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서울은 인간의 잠재력을 모두 소진하게 하는 도시”라고 덧붙이면서 약간의 게으름이 허용되는 지방생활을 찬양했다.

    심재천 기자 jayshim@segye.com
  •  
  • 기사입력 2008.05.17 (토) 11:01, 최종수정 2008.05.17 (토) 11:04
  •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728x90

 

달맞이고개 너머 바다 낙동강 호포 가는 길 진한 부산 이야기 [중앙일보]

 

 

 

 
동백꽃, 붉고 시린 눈물
최영철 지음, 산지니, 272쪽, 1만3000원

부산이란 도시는 어떤 이미지인가. 동네 친구와 편하게 소주 한 잔 걸친 뒤 삶의 고단함을 ‘탁’하고 털어버릴 수 있는 곳. 황량하게 내버려진 듯 가슴 아린 호포역, 낙동강변 구포둑 너머 찾아 오는 따스한 봄 햇살…. 부산은 이렇게 아날로그적이다. 겨울 내내 빨간 꽃을 피웠다가 봄이 되면 스러지는 아련한 동백꽃을 닮은 도시. 구슬픈 ‘해운대 엘레지’는 곧 부산의 촉감이다.

2000년 『일광욕하는 가구』로 제2회 백석문학상을 수상했던 최영철 시인이 오랜만에 산문집을 냈다. 이번엔 진한 부산 이야기다. 일상의 고단함을 내려놓고 인생의 의미에 눈을 돌리기 시작할 중년. 작가는 45년 부산 살이에 더욱 의미를 두기 위해 재개발이 되면 두둑하게 돈을 벌 수 있었던 옛 집을 버리고 대신 수영성 성북길의 낡은 집으로 옮겼다. 통장 잔고보다 풀벌레 소리를 들으며 단잠을 자고 난 뒤의 행복감이 더 소중하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번화가인 서면 롯데백화점과 쥬디스태화 앞에 북적대는 젊은이들을 보며 1987년 6월 항쟁 당시 거리로 쏟아져 나왔던 숱한 청춘들을 떠올린다. 그 시절 서면 부산상고의 담벼락은 ‘세계에서 제일 긴 공중변소’라 불렸다던가. 해운대 달맞이고개 너머 바다, 호포 가는 길의 낙동강, 중장년층의 해방구 온천장은 영원한 ‘부산 로망’이다.

작가는 “이 책이 부산의 속살을 만져보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며 “부산에서 살다 떠난 분들에겐 아련한 향수를, 지금 살고 있는 이들에게는 내 고장의 참모습을 깨닫는 계기를 제공하고자 했다”고 말했다.

김진희 기자<jinykim@joongang.co.kr> </jinykim@joongang.co.kr>
728x90
“부산 사람, 알고보면 정감 넘치죠"
 
[북데일리] 최영철 시인의 산문집 <동백꽃, 붉고 시린 눈물>(산지니. 2008) 속 부산은 푸근하다. 따뜻하고 정겹기도 하다. 작가가 의도한 결과다. 14일 낮 12시 30분
인사동에서 가진 출간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그는 “부산의 정감 있는 모습을 그리고 싶었다”고 밝혔다.최영철은 시집 <그림자 호수>, <호루라기> 등을 펴낸 중견 시인이다. 2000년에는 제2회 백석문학상을 받았다. 이번 산문집은 과거 ‘부산일보’에 연재했던 ‘작품 속 부산’과 여러 정기간행물에 기고했던 글을 다시 손 봐 엮은 책이다. 여기서 그는 총 2부에 걸쳐 부산의 풍경과 속내를 시인의 눈으로 살핀다.
“부산에서는 조그만 것, 작은 소리만 들어도 의미를 알 수 있습니다.”
부산은 그에게 제2의 고향이다. 태어난 곳은 경남 창원이지만 거의 부산에서 자라고 생활했다. 그만큼 그에게 부산은 익숙하다. 그래서 어느 하나를 스쳐도 깊이 있게 바라볼 수 있다. 이는 시를 쓸 수 있는 힘이기도 하다. 작가는 “지금까지 축적된 친밀감이 있어서 이웃의 표정만 봐도 속내가 보인다”고 말했다.
시인은 한 때 짧게나마 서울에 살았던 적이 있다. 1988년의 일로 쉽지 않은 시간이었다. 그는 “서울은 동네에서 이웃들과 부딪히며 느끼는 소통이 없었다”며 당시를 회상했다.
결국 3년 만에 부산으로 돌아올 수밖에 없었던 시인. 그는 “촌은 먹고 사는 게 힘들긴 하지만 마음이 편하다”며 “다른 시인, 소설가들도 촌으로 왔으면 좋겠다”며 느긋함을 보였다.
이번 작품에서 글만큼 눈길을 끄는 요소는 삽화다. 부산 태생의 미술가 박경효는 원고를 보고

출판사의 제의를 단박에 수락했다. 부산 구석구석을 화폭에 옮긴 그의 그림은 페이지 곳곳에 자리해 글과 어울린다.
이 중 작가가 가장 마음에 들어하는 그림은 바로 ‘수영동 푸조나무’. 암갈색의 굵은 선과 힘차게 찍힌 녹색 점이 조화를 이뤄 장대함을 뿜어내는 그림이다. 모델인 푸조나무는 사적공원 내 자리한 500년 된 천연기념물이다. 시인은 “그림을 처음 보는 순간 ‘내게 팔아라‘고 조르기도 했다”며 애정을 드러냈다.
이날 그는 후배 시인의 작품에 대한 생각도 들려줬다. 특히 미래파를 지목하며 “새로운 가능성을 여는 통로를 만들었다는 점을 높이 평가한다”고 전했다. 단, “깊은 울림은 부족한 것 같다”며 “내게는 멀게 느껴진다”고 말했다.
이번 기자간담회는 출판사 산지니가 주관했다. 산지니는 대표적인 부산 출판사다.
한편, 6월 27일 부산 광한리 미술문화공간 ‘강’에서는 박경효 화가의

전시회가 열릴 예정이다. 15일 동안 책에 소개된 삽화는 물론 미공개 그림까지 포함해 총 40점을 선보일 계획이다. (문의 051-751-0377)

[김대욱 기자 purmae33@pimedia.co.kr]
728x90

<사람들> 부산 산문집 낸 최영철 시인

기사입력 2008-05-15 15:12 |최종수정2008-05-15 15:20
 
 

부산 산문집 낸 최영철 시인

"부산 속살 만져보는 계기 됐으면"

(서울=연합뉴스) 고미혜 기자 = "자기가 발 딛고 있는 곳에 대한 값어치를 발견하게 하고 싶었습니다. 부산이 흔히 생각하듯 시끄럽고 험한 곳만이 아니고 정감도 있고 서정적인 맛도 있다는 것도 보여주고 싶었고요."

중견 시인 최영철(52)씨가 삶의 터전인 부산의 속살을 담아낸 산문집 '동백꽃, 붉고 시린 눈물'(산지니 펴냄)을 냈다.

부산에서 나고 자란 박경효(41) 화백이 담아낸 부산 풍경을 곁들인 이 책에서 최씨는 애정어린 시전으로 부산 곳곳의 내밀한 풍경과 부산의 진면목을 보여주고 있다.

태종대와 범어사, 호포, 수영성 등 부산 이곳저곳의 모습을 그려 1부 '풍경들'로 묶었고, 지난 1년간 지역 신문에 '작품 속 부산'이라는 제목으로 연재했던 글들을 추려서 2부 '작품들'로 묶었다.

창녕에서 태어나 세 살때 부모님을 따라 부산으로 온 최씨는 반백년 가까이 부산에서 살았다.

1988년 서울에서 직장생활을 하기도 했지만 부인과 딸의 반대를 무릅쓰고 2년 만에 다시 부산으로 돌아왔다.

"부산이 살기 편하다"는 것이 귀향의 이유다.

"지금 사는 곳 근처에 재래시장이 있는데 좌판 할머니의 표정만 봐도 오늘 장사가 잘 됐는지 아닌지 알 수 있어요. 새로운 도시에 적응해 그러한 감수성을 느끼려면 적어도 30년은 살아야 할 것 같더라구요. 특히 서울에서는 그런 소통이 불가능할 것 같았고요."

시 쓰는 일도 결국 사람이나 사물의 속내를 읽어내야 하는 일인데 최씨에게는 축적된 친밀감으로 속내를 읽어내는 것이 부산만큼 수월한 곳이 없다고 한다.

흔히 부산 남자들은 저녁때 귀가해 아내에서 '밥 문나?', '아는?', '자자' 세 마디만 한다는 우스개소리가 있는데 그 간단한 세 마디로도 숨어 있는 깊은 뜻을 전달하게 하는 것도 바로 축적된 친밀감의 힘이라고 최씨는 말한다.

"'밥 문나?'는 바다와 같은 마음으로 던지는 말이다. 오늘 하루의 무사 안녕을 묻는 이 한 마디에는 쌀은 떨어지지 않았느냐는, 가정 경제에 대한 걱정도 함께 묻어 있다."(145쪽)

10년 전 사고로 뇌수술을 받은 후부터 전업작가로 들어선 최씨는 요즘 글을 쓰는 틈틈이 김해에 개간해 놓은 밭에서 농사를 짓는다.

소설가인 부인 조명숙 씨까지 글을 쓰면서 서로 잔뜩 곤두서 있다가 밭에서 함께 땀을 흘리고 흙을 만지면 서로 관대해진단다.

애써 농사 지은 고구마를 산돼지와 나눠 먹을 정도로 느긋한 성격의 최씨는 내년쯤 새로운 시집을 갖고 돌아올 예정이라고 밝혔다.

272쪽. 1만3천원.

mihye@yna.co.kr

+ Recent posts